본문 바로가기

AI

(227)
[Java,Python,Go]오랜만에 언어생각 우리나라는 2024년이여도 아직도 자바왕국이다.자바성벽은 더 공고해졌다.현업에 있으면 더 느낀다. 스타트업이든 프로젝트든 자바가 제일 리스크가 없다.프로젝트나 회사를 운영하면 너무 많은 리스크.. 하나라도 줄이기 위해 기업은 자바를 선택한다.- 정부도 은행도 대기업도 자바를 선택한다. - 사람도 뽑기에 자바가 제일 괜찮다.- SI 하려면 자바로 해야한다.  자바왕국. 하지만 '이제는 누구나 개발하는 시대' 다 나는 지금은 실무에서 코딩을 하지 않는다. 그래도 업무가 아니여도 코딩을 계속하고 싶다.개발까지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유지보수나 개발은 혼자서 할수있는 분야가 아니다. 코딩이란 가볍게 생각을 코드로 표현하는 것. 아무 문제없는데 웹 사이트 / 웹 서비스 / 플랫폼 만드는거? 이제는 그런시대 다 지났..
[마케팅] 이벤트 텍소노미란 https://docs-kr.hackle.io/changelog/event-taxonomy 이벤트 텍소노미(Event Taxonomy) 정의하기이벤트 텍소노미(Event Taxonomy)란 무엇인가요? 이벤트(Event)이라는 단어는 사전적 의미로 ‘사건’을 말합니다. 즉, 무언가가 발생했거나 일어났음을 의미하는데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벤트란docs-kr.hackle.io
[mixpanel] Client vs Sever side https://sson12345.tistory.com/m/40 믹스패널 - 온보딩(2) 구현방법 데이터 보내기믹스패널 데이터 트래킹 계획 믹스패널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기존 인프라, 개발 팀의 리소스 가용성 및 수집하려는 데이터 유형에 따라 추적 계획을sson12345.tistory.com걍 우리는 리소스 부족하니 플루터 SDK로 진행해보겠다.
DW 란 무엇일까? (데이터웨어하우스) 개발자 입장에서 마케터들이 DW라 부르는 것을 서술한다.개발자한테 걍 디비임.  거기에 확장하면 큐 붙이는거고 (큐가 레디스 -> 카프카 등  사이즈 커짐) 근데 마케터나 따른 사람들이 쿼리도 날릴 수 있고 분석도 용이하게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게 Date warehouseex) 구글 빅쿼리 붙이거나, AWS 레드시프트 붙이거나, 스노우플레이크 등  데이터 엔지니어는 큐 써서 input - 전처리 - 디비 저장 - 분석  파이프라인 만들어줌 (ELK 스택 생각하면 빠름)그리고 마케터나 다른 사람들 볼 수 있게 쿼리 Client 툴가지 같은 파이프라인에서 만들어주면 그게 Datawarehouse임 Data Lake 는 데이터 더 규모 큰거 -> 예전 같으면 하둡 규모 인데 지금은 걍 클라우드 쓰는 것 같음데이..
카찹이랑 we웃 앱 서비스종료 가끔 다른 서비스들을 프로덕트 참고하려고 본다.그중 디자인 좋았던 앱 2개를 소개한다. 카찹: 택시 팟, 카풀 -> 모빌리티 앱위웃: 당근마켓같은거 -> 하이퍼로컬 앱 디자인도 예뻤기도 했지만, 관련 마켓이기도 해서 자주 참고했다.- 차캅 같은 경우는 카풀이 출퇴근시만 합법인데 다른 시간대로 가능한것 같아서 어떻게 유지하는지 특이해서 봤고,- 위웃은 우편으로 실거주 인증하것인 특이해서 봤다. 요새는 수익성없으면 서비스들이 휙휙 날라가는 시대여서 어떤식으로 전개할지 주시하고 있었다.서비스 종료하는 걸 보고 그냥 여러 생각이든다.다들 피벗팅을 하나보다. 고객 서비스 만족을 통해 pmf 찾는게 있는데,그중에서 질문이 '우리 서비스가 없어진다면 아쉬울 것 같음?' 이라고 물어본다 했을 때, 대부분이 '별 생각없..
Lessons Learned 에 대해 좋은 글 메모 https://h-go-getter-do.tistory.com/4 [210728] 레슨런(lessons learned)보다 중요한 것은 팔로업(follow-up)💡오늘은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lessons learned(레슨런)을 준비했다. lessons learned(레슨런)은 컨설팅 회사인 우리 회사의 컨설팅 프로세스 중 프로젝트를 종료 후 하는 가장 마지막 단계로 과거h-go-getter-do.tistory.com
극한의 예술은 사업 누구나 자기만의 예술을 한다 나도 나만의 예술을 한다 게임개발은 종합예술이다 사업은 종합예술이다 지금 시대의 예술은 식당으로 들어오고 있다한다 개념미술을 넘어 글로벌 갤러리들은 참여할 수 있는 예술, 고급 레스토랑쪽에 투자를 한다고 한다. 예술과 삶의 경계를 무너뜨린 다다가 있듯이 예술과 일의 경계가 없어진다 10년전 시장에서 이야기한 프로슈머처럼 아트에서도 모두가 예술라는 시대, 일과 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시대. 분야간 크로싱. 모호이즘 아트. 라고 명명해본다 예술의 범위는 다수의 시험으로 팽창됨을 확인했을듯
ROI 란 https://quickbooks.intuit.com/global/kr/glossary/roi/ ROI(투자수익률)란 무엇인가요? - 정의 - QuickBooks Global ROI는 무엇이며 회사 성장을 지속하는 데 ROI가 왜 필요한지 알아보세요. QuickBooks 용어집에서 더 많은 회계 용어에 대해 알아보세요. quickbooks.intuit.com 투자수익률은 투자로 인해 얼마를 벌었거나 잃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수치를 파악하려면 벌어들인 총수익을 투자한 금액으로 나눠야 합니다. 그리고 백분율로 환산하기 위해 100을 곱합니다. 순이익/투자 비용 x 100 = ROI. 1억/10억 -> 0.1 * 100 -> 1년기준으로 해야할듯. 우리회사에서도 사업할 때 1년 기준으로 하니깐. ㅁㄴㅇ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