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tegory

(417)
개발자들은 말하는거 그건 나도 모르겠는데.. 분석을 안해봐서.. 그건 어쩔수 없어 왜냐면 이렇게 명세가 되어있어서 어쩌구.. 개발자들은 있는 그대로 말한거다.. 고칠수 있어? 몰라 있는 현상을 말하고 일어난 현상을 말한다.. 대화방식이 시점이 안맞는다. ` --- 문화차이. 다름. 다양성.
블로그를 하려면, hELLO 티스토리 스킨 커스텀 과정(진행중) https://pronist.tistory.com/5 hELLO 티스토리 스킨을 소개합니다. hELLO hELLO 스킨은 본래 기능의 많이 없었다가, 최근 반응이 나쁘지 않아서 여러 기능의 추가와 함께 업데이트를 여러 번 하게 되었습니다. hELLO 1.0 때와 비교하면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의 기능과 pronist.dev 이거를 내가 스타일 적용하는 방법이 최고 인것 같다. 하루 날 잡고 봐야겠다. 다운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releases 적용 그냥 다운받은거를 티스토리에 올리면 된다. (image 파일 필수 업로드) 스타일을 예쁘게 변경하고 싶은데.. (이분처럼: https://inpa.tistory.com/ 처음에는 그냥..
[조직문화]슬랙 Share in group 문화 슬랙에 자신이 작업한 내용을 공유해 주고 내부에서도 피드백 받고 그런 문화.. 예전에 배민에서 https://www.inews24.com/view/1490240 '배민' 운영사가 일하는 방법은 무엇? 업무 노하우 담긴 책 출간 [아이뉴스24 윤선훈 기자] 우아한형제들은 일에 대한 인사이트와 노하우를 엮은 책 '이게 무슨 일이야!'(출판사 북스톤)을 출간한다고 14일 발표했다.회사 측에 따르면 이 책을 통 www.inews24.com 배민에서 이게 무슨일이야 담당하신 분 이야기를 듣는데 .. 외부에 공유하는걸 잘하는데 .. 프로젝트 취지도 그건데 자기내 회사에서도 할수 있지 않을까해서 내부적으로도 진행사항이나 이슈 공유하면서 했다고 한다. 나는 잊고 있었다. 그러던 중 겨우 어떤 문서를 완성하고 s 이렇게..
gulp 로 코드 minify & uglify + map 파일 만들기 https://blackblackblackblack.tistory.com/entry/%EC%BD%94%EB%93%9C-minify-%EB%82%9C%EB%8F%85%ED%99%94 코드 minify + 난독화 업체에 알려지면 안된다고 해서 https://skalman.github.io/UglifyJS-online/ UglifyJS 3: Online JavaScript minifier // Documentation of the options is available at https://github.com/mishoo/UglifyJS2 { parse: { bare_returns : false, ecma : 8, expr jinwoochoi.com 이걸로 전달했더니 어렵다고 이번에는 minify 만 해달라고 한..
코드 minify + 난독화 업체에 알려지면 안된다고 해서 https://skalman.github.io/UglifyJS-online/ UglifyJS 3: Online JavaScript minifier // Documentation of the options is available at https://github.com/mishoo/UglifyJS2 { parse: { bare_returns : false, ecma : 8, expression : false, filename : null, html5_comments : true, shebang : true, strict : false, toplevel : null }, compress: { arrows skalman.github.io https://obfuscator.io/ J..
Angular v15 나옴 하지만 국내는 이미 리액트여서 아무도 관심없음ㅎㅎ; 나는 2016 년에 현대자동차랑 협업프로젝트에서 리액트를 써야한다고 주장했지만, 우리팀은 앵귤러를 선택했다. 사실 앵귤러는 좋다. 근데 국내는 리액트로 넘어갔다. -> 결국 그 프로젝트는 나중에 내가 퇴사하고 리액트로 다시 작업을 했다. 왜 국내유저들은 리액트로 넘어간것일까? 페북 vs 구글 이었는데 초기 국내에서 네임드개발자들이 제일 많이 리액트를 사용했다. 이게 다다. 그러다가 눈치눈치 하면서 점점 리액트를 사용했다. 15 분위기는 리액트는 뭔가 힙했고, 앵귤러는 SI 느낌이었다. 그냥 어디가든지 프로젝트 발표에는 리액트를 슬슬 도입하는 분위기였다. 참 신기하다. 둘다 좋은데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리액트가 앵귤러를 완전 압도했는지.. 되돌아보면 커뮤..
당연한거를 이야기할때, 나는 행동한다. 당연한거를 이야기할때, 나는 행동한다.
커밋 합치기 나랑 똑같은 상황이었다. https://lowelllll.github.io/git/2018/11/08/git-commit-%ED%95%A9%EC%B9%98%EA%B8%B0/ git commit 합치기 (rebase -i) 깃 능력자 되기 - rebase를 사용해서 지저분한 커밋 내역을 정리하자! lowelllll.github.io 푸쉬한 내용 까지 변경하려면 변경한다음에 강제로 한번 더 밀어넣으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