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매니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팀원의 역할과 경험에 맞게 관리를 구분해야 한다.
**1. 역할에 따른 관리 방식**
- **SI 인력**에는 명확한 기간과 테스트 기간을 제공해야 한다.
- **주니어 스타트업 인재**에게는 가이드를 제공하고, 일정 확인 및 상호의존성 관리, 그리고 향후 3개월치 계획을 공유하는 정도로 관리한다.
- **시니어 스타트업 인재**에게는 업무 트래킹만 충실히 제공하며 자율성을 존중한다.
**2. 업무 방식에 따른 역할 분리**
- 코어 프로젝트를 담당할 인력과
- 세부 작업을 담당할 인력,
- 양쪽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인력을 구분하여 역할을 배분해야 한다.
**3. 효율성 관리와 균형**
- 사람을 다룰 때 최상의 효율을 뽑아내는 것이 목표이지만, 그 과정에서 무리하면 프로젝트가 오히려 어려워질 수 있다. 헬스에서도 PR을 갱신할 때가 있고, 80% 정도의 강도로 운동하거나 휴식할 때도 있듯이, 프로젝트에서도 상황에 맞는 강약 조절이 필요하다.
- 다만 K직장인들은 급여와 회사의 투자 대비 수익률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결국 시장에서 승리하는 법(BEP 0 이상을 달성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4. 매출과 수익성 관리**
- 매출을 책임지는 비즈니스 파트와 수익성을 보는 기술 파트가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하며, 이 과정에서 중간 매니저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5. 프로젝트 책임감과 성과**
- 프로덕트 관계자(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PM)들이 프로젝트나 사업 실패를 정당화할 수는 없으며, 결과에 대한 책임이 있다.
-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이직을 통해 경력을 쌓고 몸값을 올리는 것은 흔하지만, 프로젝트를 끝까지 잘 마무리했는지에 대한 책임감을 본다.
- 책임감 있는 사람, 그리고 프로젝트 및 사업 성공 경험이 있는 인재는 더욱 가치가 높다.
생각나는 대로 정리해본 것이지만, 다양한 관리 방식을 적용하여 최적의 성과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위는 GPT로 정리, 아래는 원본----
구분해야한다.
SI 인 사람한테 명확한 기간, 테스트 기간 등을 제공
주니어 스타트업 인재한테는 가이드만 그리고 일정 확인 정도, 그리고 상호의존성 관리, 향후 3개월치 까지 계획제공
시니어 스타트업 인재한테는 그냥 업무 트래킹만 충실히
여기도 구분해야한다.
자기가 코어 프로젝트를 잡아야하는 사람과
짜짤히 처내는 사람과
둘다 가능한 사람과 구분해야한다.
사람을 다룰 때 최고의 효율을 당연히 뽑아야겠지만, 그러다가는 프로젝트가 터진다.
헬스할 때도 PR 갱신할 때도 있고, 80%으로 운동할때도 있고, 휴식도 있는 법
하지만 K직장인은 급여와
회사의 투자 금액(+인건비)대비 수익률 관리를 하니 어렵다.
결국에는 시장에서 어떻게 승리(BEP 0 이상)할 것인가..가 정말 중요해진다.
그럼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보자. 사람마다 다른 프로젝트 매니징을 통해서 시장에서 승리할 수 있는가?
내 인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승리요인(영업이익)은 경영과 CRM이다.. 즉,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은 생산성과 수익률 측면에서 보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힘들어지는 것일 수 있다.
매출을 책임지는 건 비지니스 파트에서 이야기가 다시 이뤄져야한다. 근데 비지니스 파트도 기술파트에 종속적이다.
참 어렵다. 그래서 그 중간 매니저들의 일이 정말 중요하다.
생각나는 대로 작성해봤다.
그렇다고 프로덕트 관계자들(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PM)이 프로젝트나 사업 실패에 정당화 될 수 없다.
책임이 있다.
개발자들이나 디자이너나 PM이나 모두 경력을 발판삼아 이직을 하고
몸값을 올리고곤 하지만, 프로젝트를 잘 마무리 지었냐를 내가 꼭 물어보는 이유다.
책임감도 없이 그만두고, 이직해서 몸값을 올린다. -> 나쁘게 보지는 않지만
책임감 있는 사람들 그리고 프로젝트, 사업성공 경험이 있는 사람을 더욱 찾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