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usiness Insight

(72)
AARRR 및 마케팅 전략 지표, 용어안내 공부할 겸 메모  https://www.waveon.io/blog/AARRR_1 AARRR 프레임워크 (해적지표) - 1편 : AARRR의 의미와 단계별 목표 달성 전략, 지표AARRR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자칫 키보드를 잘못 눌러 생긴 오타처럼 보이는 이 용어는 스타트업과 온라인 비즈니스에서 사용되는 마케팅 개념으로, 미국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데이브 맥클www.waveon.io 해적 지표 설명 읽으러 들어갔는데웨이브온 서비스도 괜찮을 듯
[비지니스/스타트업]난이도와 진짜 구분법 당연히 대기업 보다 중소기업이 더 난이도가 높다.왜냐 사람도 인프라도 리소스 측면에서 높은 퀄리티가 아니기 때문이다. 유지보수도 더 어렵고최근에 확장성도 막혔다.채용도 더 어렵고인재밀도 관리도 더 어렵다.더 스펙스럼이 넓은 사람들 대상으로 리딩해야한다.  중소기업의 비지니스 난이도는 꽤 어렵다. 그리고 특정 산업군들은 더 어렵다. 여러가지 요인들이 쉬운걸 -> 어렵게 -> 어려운걸 불가능하게 .    만든다. 인재들이 왜 자꾸 토스, 당근, 삼성, 등 .. 이름이 있는 곳으로 가고 싶어할까?'상식이 통하는 곳으로 가고 싶은 뿐'  내가 보기에도진짜 괜찮은 인재들이 중소기업에서 꺽여버리는 경우가 꽤 많이 있다.근데, 늪 같은 곳에 갇혀 빛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어떻게 회사원도, 회사도 윈..
리더의 중요성(군대 장교) 토머스 릭스의 '제너럴스'의 첫번 째 페이지의 시작이다. '못난 지도자 때문에 죽은자들에게 바친다' 회사에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일반 사원들이 좀 나태하다고 해서 내가 그들을 해고하지 않는다.이는 국내에서 해고하는 것보다 품고 가는게 기회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기도 하지만, 책임을 사원한테 주는 시스템을 만들고 싶지않은게 크다. 하지만 파트장이나 팀장은 다르다. 성과가 안나오면 양해를 구해야한다. --이러한 내 철학은 군대에서 김원용 대대장님의 말 에서 시작된 것 같다. 나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지만, 아무생각 없이 소총수로 철원에 한 야전부대로 가게된다.나는 내가 IT쪽에 어울릴 인재인가 검증을 해야겠다고 생각해, 대대 작전병TO가 나와 용기있게 지원한다했었다.중간에 작전과장님의 면접을 보고, 작전과장..
한국법인은 해고 결심을 못해 스스로 난이도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국법인은 해고 결심을 못해 스스로 난이도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경제도 점점 어려워진다. 내가 생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국내 법인본사 설립 -> 방어적 운영, 소규모 거점 요지로 활용2. 해외 법인 설립으로 확장 ---한국은 법적규제가 빡시고, 높은 경쟁강도가 있다. 한국 본사 법인을 작게 유지하면서 해외 현지 법인에서 유연한 고용법을 활용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리스크 분산 측면에서 말이다. 그러면서도 확장가능성으로 말이다) ---그럼 되지 않을까? 너무 어렵게 해결하는건 해결방법이 아닐 수 있다.
프로덕트-영업-HR-사업개발-운영 프로덕트-영업-HR-사업개발-운영-신사업-마케팅 개발자입장에선 프로덕트가 제일 중요 창업가입장에선 MVP 까지가 중요대표 입장에선 HR 운영 마케팅 중요 그냥 다 중요.정신이 나갈것만 같다. 개발, 창업, 운영, 신사업, HR, 투자, 영업경험해본 입장에서경험이 쫌 쌓여야만 똥인지 된장인지 알수있다. 똥인지 된장인지 쫌 알고각 분야의 전문가한테 위임해야한다고 생각한다.리더는 팀을 B2C 인지 B2B인지 또 다른 무엇인지 전략을 가지고..[프로덕트, 창업, 운영, 신사업, HR, 투자, 영업..] 이런것들을 우선순위를 가져가야한다. B2B면 프로덕트  -> 영업  -> B2C면 프로덕트 -> 마케팅 -> 투자 -> HR
2024 개발자 채용에 관한 내 생각 (+미래 회사 모습) HR고민 (Tip) 일단 내가 채용담당자 겸 개발팀장임. [업계동향 및 내 인사이트]0. 개발자 채용시장이 2~3년 전하고 비교하면 체감 1/4 토막남1. 시장에서 주니어 개발자 뽑지 않는다.2. 개발자 버블 꺼졌는데, 이미 버블 때 몸값 뿔린사람들은 잘 먹고 잘 살고 , 주니어 개발자만 억울하게 되었다.3. 회사입장에서 주니어 개발자를 뽑는건 너무 리스크다.  (실력, 감정, 기본, 협업 모두 굳이..? 주니어를..?) (낭만 스타트업 투자 시절 다 지났다고 하는데.. 주니어 교육 하는 낭만 채용 시절도 다 지났다)4. 부트캠프 출신 개발자들이 업계에서 많이 사라졌다. 5. 미들급들 요새 부수입 플랫폼들이 있어서 많이 쓴다. (회사입장에선 비싼대 부업해서 속상)6. 중소 회사 입장에서는 주니어를 뽑으면 말썽.. 미들급은 ..
MECE 방법론 요새 스타트업에 들어가면 사람들에게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것 같다. mece 방법론이다.  처음에 이 방법을 가지고 분석하면 좋을 것 같다. + 그리고 y combinator 에서 발행한 글 읽으면 될듯   + 요새는 그냥 지피티한테 mece 방법론 돌려달라고 하는게 나을 것 같다.
[사람과 유지보수] 작고 예쁜, 인기많은 카페 공간 효창동에 있는 카페를 보면서 작은 공간에 찾아오는 팬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린한 설계와 실행] 소프트웨어 프로덕트를 개발하는 것도 즐겁지만, 이후 유지보수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가지고 있는 리소스, 미래 시장, 조직, 고객을 생각하지 못하고 큰 설계를 하게되면 프로덕트 개발에서 실패할 수 있다. 프로덕트 개발에 성공해도 이후 유지보수에 실패해 다시 고난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공간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성공하는 소프트웨어처럼 성공하는 공간은 조직에서 유지보수 및 감당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더 애자일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말이다. 인테리어가 좋은, 사장 혼자 컨트롤 가능한 작은 카페 공간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든다. [운영과 유지보수] 공간도 소프트웨어도 사업도 일맥상통하다. 유지는..

728x90